2007-05-04 17:36:29
전자업계 \'중국발 환경규제\' 비상
  [파이낸셜뉴스]







국내 전자업계가 황사시즌에 불어닥친 ‘중국발 환경규제’로 비상이 걸렸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LG전자, 대우일렉, 삼성SDI 등 주요 전자업체들은 중국이 추진중인 ‘중국(China) 전기전자 유해물질 사용제한지침(RoHS) 법안’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RoHS’란 중금속인 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로뮴과 브롬계난연제가 함유된 전기·전자 제품의 사용을 제한하는 제도다. 중국은 신식사업부와 6개 부처가 연계해 지난 3월 RoHS의 법제화를 선언했고 세부 시행안 마련에 들어갔다.





일단 ‘중국 RoHS’의 주요 내용은 11개 분야 1400여 완제품·부품에 대해 유해물질의 명칭·함량·위치 등 정보를 명시토록 했다. 또 중점관리목록에 포함된 전자제품에 6대 유해물질의 사용을 금지 또는 제한을 두기로 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려온 중국이 진행중인 RoHS는 한국 기업들에 만리장성보다 높은 ‘제2의 무역장벽’으로 여겨지고 있다. 한국 전자기업들이 중국발 RoHS에 바짝 긴장하는 이유다.





실제 중국은 ‘RoHS’를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무기로 사용하려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무엇보다 중국이 RoHS 법안을 만든 것 자체만으로도 한국 기업들에 부담이다. 또 중국 검사 기관이 일방적 ‘잣대’로 시험결과를 도출해 ‘딴죽’를 건다면 우리 기업의 대중 수출에 장애가 불가피한 것도 문제다. 아울러 중국이 RoHS를 통해 ‘중점관리 대상 품목’을 따로 정하려는 의도도 중국기업 보호를 위한 방편이란 지적이다.





기술표준원 최형기 부장은 “중국이 먼저 전자정보제품 오염방지관리법을 마련한 것은 또다른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 성규식 상무도 “중국 RoHS는 한국 기업들에 추가적인 부담과 규제로 작용할 수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정이 이렇자 한국 전자업체들은 자구책 마련에 동분서주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중국 RoHS에 대응키 위해 반도체를 비롯한 모든 전자제품에 6가지 유해물질 사용을 최소화하는 ‘그린 프로젝트’를 가동하고 있다. 또 환경유해물질이 없는 원부자재 구매 시스템인 ‘녹색구매제도’와 ‘고객맞춤형 친환경 반도체 온라인 정보제공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LG전자는 중국 RoHS에 대비하기 위해 ‘유해물질 제로’를 실현하기 위해 힘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LG전자는 디지털TV와 에어컨 등 제품의 유해물질을 최소화하기 위한 ‘친환경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 삼성전기도 중국 법인내 RoHS 전담 조직을 구축하는 등 비상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대우일렉의 경우 중국 RoHS를 겨냥한 시험기관 선정과 협력사를 대상 환경교육을 진행중이다.




Fatal error: Call to a member function setViewCount() on a non-object in /www/isobank_com/BBS/Board/Info_View.php on line 183